한국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제14과 천주의 성모 복되신 동정 마리아(2015)

정광훈 필립보 네리 2021. 2. 16. 11:49

<학습 목표> 1.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이며, 우리의 어머니

2. 마리아 공경의 의미와, 원죄없으신 잉태, 동정성, 승천을 믿는다.

3. 우리는 성모님의 신앙과 순종의 모범을 본받아야 함.

 

<시작 기도> 성모송 p.228

 

<도입> 마리아에 대한 오해. 속담 : 마누라가 예쁘면, 처갓집 말뚝을 보고도 절을 한다. 예수님을 믿고 사랑하며 주님으로 섬기는 사람은 그 분과 관계있는 모든 것을 소중히 여긴다. (성지 순례) 예수님을 낳고 기르신 성모님을 소중히 여기는 것은 지극히 타당하다. 더욱이 성인 공경은 천주교의 기본 교리이다.

 

<성경 읽기> 가브리엘 천사의 수태 고지. 모세 율법에 의하면 간음은 돌로 때려 죽이는 죄. 어떻게 그런 일이 ? ------> 저는 주님의 종이오니 주님의 뜻대로 하십시오. (최고의 순명)

 

<교리 풀이>

 

1.성모 마리아의 위치

 

천주의 성모 (Ө의 어머니)

성모송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 저희를 위하여 빌어주소서

 

(428년 콘스탄티노풀 대주교 네스토리우스 이단) 마리아는 예수의 신성과 인성 중 인성을 낳았으므로 마리아를 '그리스도의 어머니(Christotokos)'라고 불러야 한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치릴로) 성자는 신성과 인성이 분리된 순간이 없다

(마리아에게서 태어나는 그 순간도) 마리아는 예수의 인성과 신성을 동시에 낳은 것예수는 성자로서 하느님 마리아는 Ө의 어머니

 

교회는 431년 에페소공의회에서 마리아는 Ө이신 성자 를 낳으신 천주의 모친임을 성대하게 믿을 교리로 선포하였다. (“천주의 모친대축일 11)

 

교회의 어머니, 모든 신자들의 어머니

교회는 를 머리, 교회를 몸, 신자들을 지체로 하는 의 신비체 ➔ ☧ (교회의 머리)의 어머니인 마리아는 교회(몸통)의 어머니이며 신자들(지체)의 어머니

지상에서의 역할 못지않게 은총의 세계(내세)에서도 영혼들의 초자연적인 생명을 회복시키는 일에 함께하여 구원 사업에 협력

2. 우리와 교회의 모범(신자들의 모범)이신 마리아 = 공경하는 이유

순명하는 믿음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를 찾아와 Ө의 뜻(성령 잉태)을 전함 마리아는 이 몸은 주님의 종입니다. 지금 말씀대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가 1, 28-38)

유태교의 율법 : 정혼자의 파혼 사유. 처녀 잉태는 돌팔매 처형.

 

신앙인의 모범

아들에 대한 믿음

(돌출행동)

 

 

박해의 감수

(의 수난)

모든 신앙인의 모범

자신의 삶을 희생

(마리아의 삶)

 

 

 

구원의 협조자

하와

Ө께 대한 불순명

인류에게 죽음

 

마리아

Ө의 뜻에 순명

인류에게 영원한 생명

중요한 다리 역할

갈릴레아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께서 첫 번째의 기적을 행하실 수 있도록 협력 ➔ Ө 나라의 시작을 알리도록 기여(요한 2, 1-12)

 

3. 마리아와 성인공경 사상

성인공경은 천주교의 자랑

사도신경에서

모든 성인의 통공

믿고 고백

세레명

수호성인

천국 성인들이 지상의 교회(백성)을 도와주고 공을 나눈다

가장 큰 성인인 성모 마리아를 공경하는 것은 지극히 타당.

 

성모님 공경의 성격

성모님을 신격화 한다든가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님.

성모님으로 인해서 사람들이 를 더욱 공경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성모님에 대한 바른 공경이며 바른 신심.

 

欽崇之礼(Adoratio):하느님 上敬之礼(Hyperdulia):성모님 恭敬之禮(dulia): 성인들

4. 마리아의 特典

원죄 없으신 잉태(無染始胎)(부모님 요아킴과 안나가 마리아를 잉태할 때)

인간은 원죄를 가지고 태어나지만 마리아는 예외

가브리엘 천사 : “은총을 가득히 받은 이여.”(루가 1, 29)

은총을 입는다 항상 구원 안에 머문다 죄의 상태에 있지 않다.

 

평생 동정 (잉태. 출산. 평생)

이 교리는 초대교회부터의 聖傳AD 649 라떼란 공의회에서 교리로 선포됨.

 

성모 몽소승천 (聖母 蒙召昇天) (입을 몽, 은혜를 입음)

아드님이신 에 의하여 천상영광에로 불려 올림을 받으심.

↔ ☧께서는 스스로 하늘로 오르심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신 첫 사람의 열매(1고린 15, 20)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최후의 날에 있을 인간의 부활을 미리 예표.

• ☧가 모든 인간에게 던져주는 희망의 빛.

'성모승천' 교의는 1950.11.1 교황 비오 12세 때 선포.

 

5. 성모님과 관련된 대축일

11 : 천주의 모친 성 마리아 대축일(의무축일)

325: 주님 탄생예고 대축일 (성모영보 대축일)

815 : 성모 승천 대축일(의무축일)

128: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대축일

4대 의무축일 나머지 : 성탄절, 부활절

 

6. 성모님 발현 사건

20세기에만 386건이 보고되었지만 그 중 단지 8건만이 교회의 인가를 받고 성전이 건립되었다

 

과달루페의 성모 : 1581년 멕시코 과달루페에서 원주민 요한 디에고에게 발현

파리-기적의 메달 성모 (은총의 성모, 자비의 성모): 1830년 파리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

사랑의딸 수녀회 카타리나 수녀에게 발현.(기적의 메달 제작, 원죄없으신 잉태)

레지오 마리애 주보 성모상, 양손을 벌리고 발로 뱀의 머리를 밟고 있다.

루르드 (원죄 없는 잉태)의 성모 : 1858년 프랑스 루르드에서 14세 시골소녀에게 18번 발현. 두 손을 합장하고 묵주를 들고 있는 성모상.

파티마-로사리오의 모후 : 19176개월간 매달 13일에 포르투갈 파티마의 3 어린이에게 발현.

바뇌-가난한 이들의 동정녀:1933년 벨기에 바뇌에서 소녀 (마리에트 베코)에게 8번 발현

메주고리(between the hills)의 성모 : 1981년 유고슬라비아(현 보스니아)의 수도인 사라예보) 메주고리에 발현, 교황청 미승인

 

나주 율리아와 성모 마리아 발현

1985년 나주 윤홍선 율리아 집 성모상에서 눈물이 흐르는 현상이 나타난 후 여러 번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관할 광주대교구장은 사적계시로 인정하지 않았고 참석을 금지시킴.

 

성모님과 관련된 상식

AVE MARIA (마리아 여) : 성모송의 라틴어의 시작이자 제목

마리암(이스람교 코란)미리암 (모세의 여동생) 머라이어 캐리 (미국 여가수)

magnigicat (성모의 노래): 성모님 엘리사벳 방문시, 내 영혼이 주를 찬송하며...

피에타(pieta ): 그리스도의 사체를 표현한 예술작품 전반, 통상 성모님이 안고 있는 상으로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의 미켈란 제로의 피에타 상이 유명함.

이콘: 금칠한 목판에 비잔틴 양식으로 그린 판넬, 금속판을 덧 씨우거나 보석으로 장식

영원한도움의 성모상: 5C중엽 팔레스티나에서 발견, 현재 로마 성 알퐁소 성당 중앙제대에 있음.

 

스카폴라 (聖依) : 수도회 수도복의 어깨받이를 축소해서 같은 색의 2-3인치 천 조각을 목 앞뒤로 걸쳐 그리스도의 멍에를 상징하며 수도자적 완덕을 추구하는 열망을 표현한다. 교회의 인가를 받아 전해오는 스카폴라는 20여종이며 그중 마리아 스카폴라는 8가지이다. 이중 가장 오래되고 널리 보급된 것은 갈색 스카폴라다. 1251. 7. 16 까르멜산의 성모성심회(가르멜 제3) 수도원에 발현하셔서 당시의 수도복의 일부인 스카폴라리오를 주시며 이것을 착용하고 죽은 사람은 구원을 받는다고 말씀하심.

성모 七苦 : 에집트 피난, 시메온의 예언, 성전에서 예수를 잃음, 십자가를 지신 예수와의 만남, 십자가에서 죽으심, 성시를 안으심, 장사 지냄.

 

성모 七樂 : 성모 영보, 엘리사벳 방문, 예수 탄생, 예수 공현, 성전에서 예수를 다시 찾음, 예수 부활, 성모 승천

 

 

<정리> 읽기

<다짐> 읽기

<알아 둡시다> 묵주기도 (Rosario) = 장미 꽃다발 기도

성모 마리아와 함께 하느님 공경을 표현하기 위해 묵주를 들고 바치는 기도, 10번의 성모송이 1= 10송이 장미 1 다발

 

,

환희의 신비

예수님의 탄생

 

,

고통의 신비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

영광의 신비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

 

빛의 신비

예수님의 공생활

2002년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요일별 신비 (교재 p. 233)

 

묵주의 종류

정규 묵주 : 5단 묵주

약식 묵주 : 1단 묵주 (팔지 형, 반지 형), 15단 묵주

자동차 백 밀러에 거는 행위는 안 됨. (장식품이 아님) 턱 위에 올려 놓는다.